반응형

인간관계 7

[인간관계]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

인생에서 가장 슬픈 세 가지, 할 수 있었는데, 해야 했는데, 해야만 했는데, 남들이 당신을 어떻게 생각할까 너무 걱정하지 말라, 그들은 그렇게 당신에 대해 많이 생각하지 않는다. 다른 누군가가 할 수 있거나 인생에서 이룰 수 있는 일이라면 당신도 할 수 있습니다. 가장 용감한 행동은 자신을 위해 생각하고 그것을 큰소리로 외치는 것이다. 너의 길을 가라, 남들이 무엇이라 하든지 내버려 두라. 낮은 자존감은 계속 브레이크를 밝으며 운전하는 것과 같다. 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은 그렇게 되고, 할 수 없다고 믿는 사람 역시 그렇게 된다. 또 실패했는가? 괜찮다 다시 실행하라 그리고 더 나은 실패를 하라 건강한 자존감을 갖고 싶다면, 무엇보다 먼저 스스로에게 너그러워져야 한다. 누구나 재능은 있다. 드문 것은..

인간관계 2022.08.22

포기하지마!! 성공은 니 맘이야!!

우리는 살아가면서 꿈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하지만 달려가는 과정에서 실패와 좌절감을 느끼게 된다. 주변에 성공한 사람들도 그 과정을 면밀히 보면 숱한 좌절과 실패를 딛고 자신의 꿈에 도약해 성공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숱한 좌절과 실패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꿈을 이룰 수 있었던 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은 그 꿈을 위해 치열하게 꿈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생각하며, 자신과의 외로운 싸움을 계속했기 때문이다. 인생에서 고난과 역경은 없을 수 없다. 타고난 운명처럼 단 한 번의 고난과 경도 없는 인생은 없다. 넘어지고, 깨지고, 다시 일어서야 한다. 성공한 사람을 보면 고난과 역경 없는 인생으로 보이지만 가까이서 관찰하면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우리는 살아가는 과정에서 수많은 유혹에 당하고 실패에 끝없는 좌절..

인간관계 2022.08.15

[매너리즘] 독창성과 신선미를 잃게 되면서 아이디어는 고갈

매너리즘, 독창성과 신선미를 잃게 되면서 아이디어는 고갈 항상 틀에 박힌 일정한 방식이나 태도를 취함으로써 신선미와 독창성을 잃는다는 말입니다. 요즘 직장생활에서 많이 나오는 말로 "매너리즘에 빠진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반복적인 일 을 하면서 생기는 직장인들에 많이 일어나고 있는데요. 독창성과 신선미를 잃게 되면서 아이디어는 고갈되면서 삶에 대한 의미도 잃을 수가 있습니다. 번아웃과 매너리즘은 비슷한 성격으로 함께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https://jungbo4.tistory.com/18 [인간관계] 에너지를 소진하다 "번아웃Burn Out" 이란 Burn_Out : 다 타다, 고장 나다, 에너지를 소진하다. 아침에 일어나 출근 준비를 하면서 회사에 가는 것이 즐거운 직장인은 얼마나 될까요? 대..

인간관계 2022.08.13

[현실조언] 상대에게 호감을 주는 방법, 이름을 기억하라

상대에게 호감을 주는 방법 중 상대방의 이름을 기억하라 인간관계에서 성공하기 위해 상대에게 호의를 얻을 수 있는 것은 가장 쉬우면서도 어려운 것이 바로 이름 외우기입니다. 우리는 자신을 특별하게 생각해주고 이름을 기억해주는 사람에게 마음이 향하게 되어있습니다. 만약 구면인 사람이 당신에게 ​"안녕하세요. 저번에 뵌 적이 있는데 실례지만 성함이..."라고 할 때와 ​"안녕하세요. 저희 저번에 뵌 적 있었죠? 홍길동 씨."라고 할 때 당신은 어느 쪽에 귀를 더 기울이겠습니까? 당연히 후자겠지요. 역사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의 경우만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프랭클린 D. 루주 벨트는 사람 글에게 호의를 얻기 위한 가장 단순하고 중요한 방법을 말합니다. "유권자의 이름을 기억하는 게 정치인이 해야 할 도리이다. ..

인간관계 2022.08.09

[인간관계] 에너지를 소진하다 "번아웃Burn Out" 이란

Burn_Out : 다 타다, 고장 나다, 에너지를 소진하다. 아침에 일어나 출근 준비를 하면서 회사에 가는 것이 즐거운 직장인은 얼마나 될까요?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매일 힘든 스트레스를 견디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를 오랫동안 견디다 결국 버티지 못하고 정신적, 신체적으로 무너져 내려 오랜 기간 동안 모든 의욕을 상실하고 건강까지 잃게 됩니다. 회사 가는 것이 두렵고 싫은 건 물론이고 삶에 대한 회의감으로 하루하루가 지옥 같은 생활을 하게 됩니다. 이런 증상을 심리학적 용어로 "번아웃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1. Burn out "다 타타", "고장 나다", "에너지를 소진하다." 번아웃 증후군은 우리가 일을 하다 보면 지나치게 일에 의욕적으로 몰두하던 사람이 극도의 신체적, ..

인간관계 2022.08.02

[현실조언] 자라증후군, 캥거루족

자라증후군, 캥거루족 이란, 자라증후군, 부모의 경제력만 믿고 자신은 일을 하지 않는 등 사회생활에 대한 의지를 상실한 사람들을 말한다. 자라의 특성중 커서도 부모의 곁을 떠나려 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이런 특성을 빗댄 용어 중 "자라중후군"은 경제적, 정신적으로 자립심이 부족해 계속적으로 부모에게만 의존하려는 젊은 세대를 일컫는 말이다. 비슷한 말로 캥거루는 새끼를 주머니에 넣어 보호하고 있는 특성에 빗대어 학교를 졸업하고도 자립하지 않고 취직이나 사회생활을 하지 않는 20~30대 젊은층을 일컫는 말로 "캥거루족"이 있다. 청년실업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20대 젊은 층을 지칭하는 말이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30~40대 캥거루족이 증가하면서 노인 부모의 부담이 크게 느껴질 수 밖에 없습니..

인간관계 2022.07.30

[인간관계] 가스라이팅 (Gas-lighting) 이란? (feat. 영화 가스등을 통해 알아보자)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교묘하게 조작해 그 사람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듦으로써 타인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보통 수평적이기보다 비대칭적 권력으로 누군가를 통제하고 억압하려 할 때 이뤄지게 된다. 가해자가 의도적으로 심리를 조작하면서 피해자 스스로 의심하고 판단력을 잃어버리도록 만들어 버린다. 판단력을 잃은 피해자는 가해자에게 의존하게 만들어 지배력을 교묘하게 강화시키는 심리 조종술이며, 쉬운 말로 세뇌의 일종이다. 가스라이팅 (Gaslighting)이라는 용어는 1938년 영국에서 공연된 연극 , 그리고 1944년 영화로 만들어진 "가스등"에서 유래되었다. 미국 정신분석가이자 심리치료사인 로빈스턴(Robin Stern)은 이 제목을 인용해 Gaslighting Effect이라는 용어를 ..

인간관계 2022.07.23
반응형